
유엔 안보리가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북한의 인권 상황에 대한 비공개 회의를 개최했다고 VOA가 16일 전했다. 미국을 비롯한 7개 나라는 유엔 안보리에서 북한 정권을 강하게 규탄했다.
린다 토머스-그린필드 유엔주재 미국 대사는 15일 유엔 안보리에서 비공개로 열린 북한 인권 상황에 대한 회의가 끝난 뒤 낭독한 7개국 공동성명에서 “북한 주민들은 세계에서 가장 억압적이고 전체주의적인 정권 중 하나에 의해 기본적인 자유를 체계적으로 거부당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북한 정권은 10만 명이 넘는 사람들을 정치범 수용소에 억류하고 있으며, 이곳에서 수감자들은 고문과 강제 노동, 즉결 처형, 굶주림, 성과 젠더 기반 폭력을 포함한 학대에 시달리고 있다고 밝혔다.
아울러 정치범 수용소에 있지 않는 나머지 주민들 역시 두려움의 지배를 당하고 표현의 자유에 대한 기본권을 거부당한다고 성명은 덧붙였다.
이날 유엔 안보리는 미국의 요청으로 북한의 인권을 논의하는 회의를 비공개 방식으로 개최했다.
이후 회의가 끝난 뒤 안보리 상임이사국인 미국과 영국, 프랑스, 비상임이사국인 에스토니아와 아일랜드, 노르웨이 그리고 이사국이 아닌 일본 등 7개 나라가 공동으로 작성한 성명이 발표됐다.
성명은 북한 정권의 인권 유린 상황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에 대한 대응 조치로 한층 더 악화됐다는 점도 지적했다.
북한 정권은 북한을 탈출하려는 어떤 이들이라도 사살하라는 명령을 내려 시행 중이고, 인도적 지원이 절실한 사람들에게 지원이 도달하는 것을 막았다는 것이다.
또 북한의 억압이 국경 너머까지 확대된다며, 자신의 의지에 반해 북한에 억류돼 있는 일본인들과 다른 나라 국민들에 대한 국제적 납치와 강제 실종에 북한 정권이 연루돼 있다고 비판했다.
유엔 안보리가 북한 인권 관련 회의를 개최한 건 지난 2014년 이후 이번이 6번째다.
앞서 안보리는 유엔 북한인권조사위원회(COI) 최종보고서가 나온 지난 2014년 북한 인권과 관련한 회의를 처음으로 개최한 이후 2017년까지 매년 관련 논의를 이어갔고, 이후 2년 동안 회의를 열지 못하다가 지난해 다시 비공개 방식으로 회의를 소집한 바 있다.
따라서 안보리는 올해 2년 연속 북한 인권 관련 회의를 열었지만, 공개적인 방식의 회의는 올해로 4년째 열리지 못하고 있다.
토머스-그린필드 대사는 성명에서 유엔 안보리가 북한 인권 문제를 다뤄야 한다는 사실을 강조하면서, 안보리 차원의 적절한 대응책 마련을 촉구하기도 했다.
한편 이날 성명의 공동 작성국인 에스토니아의 유엔 대표부는 트위터를 통해 “북한 주민들은 그들의 기본적인 자유를 체계적으로 거부당하고 있다”며, “현대 세계에는 그런 잔혹함이 설 자리가 없고 유엔 안보리가 이를 다룰 때”라고 말했다.
또 아일랜드 대표부도 트위터에서 “우리는 모든 안보리 이사국들이 내년에는 이 사안에 대한 공개 회의를 지지해 줄 것을 촉구한다”고 밝혔다.
뉴스타운
뉴스타운TV 구독 및 시청료 후원하기
뉴스타운TV