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를 바꾸지 않고는 민생복원과 경제회복을 향해 한 발짝도 떼지 못할 것”
"여와 야, 보수와 진보를 떠나 오직 민생복원·정치복원의 길로 갈 것" 촉구

김동연 경기도지사는 '민생회복의 골든타임을 놓치지 맙시다'라는 호소문을 통해 “국정운영 기조와 지금의 여야관계를 바꾸지 않으면 돌이킬 수 없는 상황까지 갈 것이라는 절박감에 이 자리에 섰다”고 했다.
김동연 지사는 9일 오전 10시 도청 브리핑룸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이런 문제를 풀어야 할 정치권은 끝 간 데 없이 싸우면서 오히려 갈등을 조장하고 있어 정치를 바꾸지 않고는 민생복원과 경제회복을 향해 한 발짝도 떼지 못할 것이다"라고 밝혔다.
김 지사는 “대한민국 수출의 20%를 차지하는 반도체 수출은 42.5% 급감했고 반도체 부가가치의 83%를 생산하는 경기도에 빨간 경고등이 켜졌을 만큼 경제는 총체적 위기에 빠져들고 있다”며 “대한민국 경제, 산업, 투자의 4분의 1 이상을 차지하는 경기도가 지금 겪고 있는 고통이 바로 대한민국의 고통”이라고 피력했다.
또 "‘민생복원’이 시급하다며 특단의 대책을 마련하지 않는다면 기업구조조정에 따른 대량실업,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의 연쇄도산, 가계 부채 위기로까지 번질 수 있다. '정치복원’이 시급하다며 이런 문제를 풀어야 할 정치권은 끝간데 없이 싸우면서 오히려 갈등을 조장하고 정치를 바꾸지 않고는 민생복원과 경제회복을 향해 한 발짝도 떼지 못할 것"이라고 했다.
김동연 지사는 절박한 심정으로 민생복원, 정치복원을 위해 3가지를 현 정부에 제안 했다.
첫째, 검(檢)주국가, 권(權)치경제를 탈피해야 한다면서, “경기도만 해도 민선8기 출범 이후 열세 차례의 압수수색을 받느라 민생을 위한 도정이 마비될 지경이다”며 “권력기관에 기댄 국정운영을 중단해야 하며, 민생복원을 위해 대통령은 이제 검사가 아닌 ‘대통령의 길’을 가야 한다” 고 했다.
둘째, 경제정책의 대전환이 필요성을 적시하며 “민간 주도 혁신경제와 정부 중심 사회투자로 전환해야 할 것과 정책의 대전환을 통해 민생을 살리고 경제위기를 극복하는 ‘국민의 길’로 가야한다”고 했다.
셋째, 일방적 국정운영, 사생결단식 여·야 관계를 청산해야 한다며 “어제 선출된 신임 여당 대표는 대통령과 여·야 대표 사이에 대화의 장을 만들어가길 촉구하며 이와 함께 사회적 타협을 위해서 여·야·정은 물론 기업, 노동, 지자체 등 모든 경제주체가 참여하는 ‘국가민생경제회의’를 말하고 이를 통해 여야, 노사, 모든 경제주체는 ‘대화의 길’로 가야 한다”고 했다.
또 “대통령, 정부, 정치권, 각 경제주체가 함께 제대로 된 ‘대통령의 길’, ‘국민의 길’, ‘대화의 길’로 나설 때 민생복원과 정치복원은 가능 할 것” 이라고 덧 붙였다.
또 그는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서 정부여당과는 정책으로 경쟁하고 민생위기, 경제위기를 극복하는데 당의 모든 역량을 집중해야 하며 원내 제1야당으로 협조할 것은 협조하고 잘못된 것은 비판하면서 정책 정당으로 우뚝 서야 한다"고 조언하고 "여와 야, 보수와 진보를 떠나 오직 ‘민생복원’, ‘정치복원’의 길로 갈 것을 촉구한다"고 했다.
뉴스타운
뉴스타운TV 구독 및 시청료 후원하기
뉴스타운TV