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미 예견되어 왔던 대로 북한이 한미연합군사훈련 ‘자유의 방패(Freedom Shield)'에 크게 반발해 12일 새벽 잠수함에서 전략순항미사일 2발을 발사함으로써 군사적 대응조치를 본격화했다.
북한 관영 조선중앙통신(KCNA)은 13일 “전략순항미사일 수중발사훈련이 12일 새벽에 진행되었다”고 보도했다.
합동참모본부(합참)도 “어제(12일) 아침 북한 신포 인근 해상의 북한 잠수함에서 시험 발사한 미상의 미사일을 포착했다”고 13일 공지했다. 합참은 ‘미상의 미사일’이라는 표현을 사용해 아직 발사체가 구체적으로 어떤 것인지 모르고 있음을 시사했다.
KCNA는 “발사훈련에 동원된 잠수함 ‘8.24영웅함’이 조선 동해 경포만 수역에서 2기의 전략순항미사일을 발사하였다”고 전했다. 잠수함에서 북한이 순항미사일을 발사한 것으로 이번이 처음이다. 북한은 과거 잠수함발사탄도미사일(SLBM)을 발사한 적은 있다.
KCNA가 밝힌 8.24영웅함은 지난 2016년 8월 24일 함경남도 신포 앞바다에서 첫 SLBM인 북극성-1형의 수중발사에 이용된 2천톤급(고래급) 잠수함을 말한다. 북한은 당시 성공적으로 SLBM을 시험발사했다면서 ‘8.24영웅함’이라고 명명했다.
북한은 또 이번 전략순항미사일에 대한 제원을 일부 공개하기도 했다.
조선중앙통신은 “발사된 2기의 전략순항미사일은 조선 동해에 설정된 1,500km 계선의 거리를 모의한 '8'자형 비행궤도를 7,563s(2시간6분3초)∼7,575s(2시간6분15초)간 비행하여, 표적을 명중 타격하였다”고 보도했다. 사거리 1천500㎞정도이면 남한 전역과 주일미군기지까지 타격권이다.
2기의 발사된 전략순항미사일이 ‘8자형 타원 궤도’를 유지하면서 2시간가량 1천500㎞를 비행해 표적을 명중시켰다는 것으로, 순항미사일은 발사 후 저고도로 비행하며 궤도를 바꿀 수 있어 지상 및 해상의 요격망을 피할 수 있는 전략무기에 속한다.
KCNA보도대로 북한이 잠수함에서 순항미사일 발사에 성공했다면, 또 하나의 “수중전략무기”를 보유하게 됐다는 의뜻으로, 한국과 미국의 요격망도 위협을 받게 됐다는 의미도 된다.
이어 KCNA는 “발사 훈련을 통하여 무기체계의 신뢰성을 확인하고 공화국 핵 억제력의 또 다른 중요 구성 부분으로 되는 잠수함 부대들의 수중대지상 공격 작전 태세를 검열 판정하였다”며 “발사 훈련은 자기의 목적을 성과적으로 달성하였다”고 평가했다.
통신은 또 “수중발사 훈련을 통하여 미제와 남조선괴뢰역도들의 반공화국 군사적 준동이 노골화되고 있는 현 정세를 시종 압도적인 강력한 힘으로 통제 관리해나갈 우리 군대의 불변한 입장이 명백히 표명 되였으며, 다양한 공간에서의 핵전쟁 억제 수단들의 경상적 가동 태세가 입증됐다”면서 “조선로동당 중앙군사위원회는 발사훈련 결과에 만족을 표시하였다”고 강조했다.
한편, 미사일 발사 원점인 신포 일대는 북한의 잠수함과 잠수함발사탄도미사일(SLBM) 개발시설이 있는 곳으로, 작년 5월 신포 일대 잠수함에서 단거리탄도미사일을 발사했으며 10월에는 저수지에서 SLBM을 쏘기도 했던 곳이다.
뉴스타운
뉴스타운TV 구독 및 시청료 후원하기
뉴스타운TV